ReactNative

[Git] Stash 이용해서 애매한 코드 임시 저장하기

5353 2024. 8. 13. 00:47
반응형

코드를 짜다보면, 에러로 인해 어느 분기점 이전으로 돌아가서 다시 짜야 하거나, 의도에서 벗어나 애써 짠 코드를 버리고 이전에 짠 코드를 사용해야할 때가 있다.

이럴 때 WebStorm의 Shelf 또는 VsCode 의 Stash를 이용하여 코드를 임시 저장하고, 꺼내쓸수있어 편리하다.

Shelf(선반)에 짱 박아둔 코드를 빼서 쓰고 애매한 코드를 다시 짱박아둔다고 생각하면 편하

다 


JetBrain 계열이 git에 대한 GUI가 발달해서 쓰기 편하지만, Webstorm 에서의 shelf 대신 VS Code에서는  stash(저장 숨김/비축) 을 사용 할수 있다.

source control -> ... -> Stash

 

VsCode 의 source control 에서 상단 탭에 ... 을 클릭 시 "Stash" 를 볼수 있다.

1. stash (현재 코드 비축) 를 클릭 , 어떤 코드인지 기록 남긴 후

 2. Stash(Include Untracked)를 하면 에러 나기 직전 저장해둔 과거 코드로 돌아갈수 있다.

View Stash 코드 기록 찾기

3. 만약 직전에 저장한 코드가 아닌 저장한 목록에서 코드를 꺼내보고 싶다면 :

Satsh -> View Stash 를 클릭 , 기록을 검색하면 현재까지의 변경점을 모두 볼수 있다.

View Stash 에서 코드 기록 검색

반응형